대학교수의 풍부한 임상경험으로 진단 및 치료를 솔빛내과에서 제공합니다.
동네 병원에서 해결되지 않아 대학병원에
자주 의뢰되는 역류성 식도염과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이제 대학 교수의 역량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다양한 약제 조합을 통해
개인 맞춤형 치료를 제공합니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에게
개인에게 최적화된 약처방 뿐만 아니라,
식생활 교정, 장내마이크로바이움 분석 등
대학수준 그 이상의 진료를 제공합니다.
위식도 역류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내시경 검사, 24시간 식도 산도/임피던스 검사, 식도 내압 검사 등을 시행합니다.
산도검사와 내압검사는 대학병원에서 시행 됩니다. 이 검사들은 코를 통해 관을 넣고 식도 내압을 측정하고, 24시간 관을 유지한채
일상생활을 하면서 검사를 하게 됩니다. 따라서, 자주 하는 검사는 아니며, 쉽게 할 수 없어 꼭 필요한 환자들이 대상이 되어야 합니다.
솔빛 내과에는 상기 검사들을 해석하고 진료에 적용하여 치료 경험이 있는 소화기내과 전문가가 진료를 하기 때문에, 추가 검사를 위한
대학병원 진료 결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대학병원에 내원하여도 상기 검사를 시행하지 않고,
약물로 조절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원인으로 위내용물의 양적 증가, 위 내부 압력 및 복압 증가,
위와 식도 사이에 있는 괄약근의 압력 감소가 있습니다.
상기 원인으로 위 내용물이 식도 점막에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전형적인 증상은 가슴 쓰림, 위산 역류 입니다.
이 외에도 목 이물감, 연하 곤란, 연하통, 오심, 기침, 쉰목소리 등이 있습니다.
위식도 역류 질환 치료는 아래 그림처럼 단순하지 않습니다.
솔빛 내과에서는 교수 출신 연구자가 최신지견을 바탕으로 최적의 치료를 대학 병원 수준으로 제공합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복통과 배변 습관의 변화이며 복통이 심하더라도 배변 후에는 호전되는 특징을 보입니다.
점액질 변, 복부팽만이나 잦은 트림, 변비, 방귀, 전신 피로, 두통, 불면, 어깨 결림 등의 증상도 나타납니다.
복통 또는 경련
잦은 가스 배출과
복부 팽만
설사
변비
점액변
잔변감
한가지 원인보다는 다양하고 복합한 기전으로 증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내장 감각의 과민성 증가, 위장관 운동성의 변화, 위장관 팽창도 감소 등을 원인으로 생각합니다.
정신적 스트레스는 과민성 대장 증상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어 현대인에게 이 질환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고,
전세계적으로 9.5 – 25%의 유병률을 보고할 정도로 흔한 질환입니다.
이처럼 현대인의 많은수가 이 질환으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고, 원인이 복잡하여 치료 후에도 증상이 반복되어 병원에 자주 내원하는 질환입니다.
이런 이유로 지속적으로 치료를 했음에도 대학병원 소화기병센터 외래에 다수의 환자가 내원합니다.
분류 | 정의 |
---|---|
과민성 장 증후군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
과민성 장 증후군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최소 1주에 하루 이상 반복적인 복통이 있으면서 다음 중2개 이상에 해당되는 경우 1) 증상이 대변 활동과 연관 2) 대변 횟수의 변화 3) 대변 형태의 변화 상기 증상이 최소 6개월전에 시작되어 3개월 이상 지속 시 해당 |
변비형 (IBS–C) | 브리스톨 대변 형태 1 or 2이 ≥ 25% & 대변 형태 6 or 7이 < 25% |
설사형 (IBS–D) | 브리스톨 대변 형태 6 or 7이 ≥ 25% & 대변 형태 1 or 2이 < 25% |
혼합형 (IBS–M) | 브리스톨 대변 형태 1 or 2이 ≥ 25% & 대변 형태 6 or 7이 ≥ 25% |
미분류형 (IBS–U) | 과민성 장 증후군 정의에는 만족하나 세가지 아형에 만족하지 않는 경우 |
Gastroenterology. 2016 Feb 18:S0016-5085(16)00222-5
과민성 대장 증후군은 한가지 약으로 해결이 되지 않습니다.
정확한 진단, 적절한 약의 조합과 식생활 조절이 동시에 적용되어야 치료가 됩니다.
해결되지 않는 수많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 환자들을 대학병원에서 10여년간 진단하고 치료하며 경험한
솔빛 내과의 소화기 내과 전문가가 환자분들의 증상 개선을 도울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바이옴 검사 등 최첨단 검사를 시행 후 관련 연구를 다수 수행한 전문가의 결과 해석 및 상담을 제공하여 차별화된 치료를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